[홍삼정보]인삼에도 귀천이? 건전삼,적변삼,은피삼 구별법

양지가족 여러분 안녕하세요?

오늘은 아주 흥미롭고 유익한 정보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여러분 인삼도 계급이 있다는 것을 아시나요?

같아 보여도 크게 다른 인삼의 종류~

적변삼과 은피삼인데요.

오늘은 저품질 인삼 은피삼과 적변삼 구분하는 방법을 공개합니다.

이것만 알고 계셔도 인삼을 속아 사는 일은 없으실 거예요.

좌측 건전삼 / 우측 적변삼

은피삼

 

1. 경(가벼운) 결점 홍삼인 기타홍삼의 원료로 주로 사용되는 적변삼

적변삼은 1908년 전후로 개성지역의 재배 인삼뿌리에 부분 적갈색 반점이 나타나는 증상을 발견,

이는 초기에 뿌리의 부패를 동반하는 병으로서 일명 적부병이라 불렀으며,

과습한 토양 (물기가 지나치게 많은 토양) 에서 인삼을 재배하거나 습윤한 기후에서 발생되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어요.

 

적변삼은 1970년대 후반 토양세균에 의한 적부병으로 취급되어 왔으나, 적변삼에서 95%이상 검출률이

높은 세균의 접종으로도 적변이 발생되지 않는 경우가 있고 살균토양에서도 적변이 발생되는 등 결국은 인삼의

생리적인 장해로 인정되었구요~

 

 

저년근에서 적변이 발생하면 뿌리의 비대생장(한마디로 잘 안자란다는 거죠) , 고년근으로 갈수록 적변화에 의해 외피가

두껍거나 거칠어지며 심하면 껍질이 균열되거나 이층을 형성하여 쉽게 벗겨집니다.

적변삼은 홍삼을 제조하더라도 홍삼 본래의 붉은색 광택이 나타나지 않고
오갈색으로 되어 외피가 조잡해지거나 주름이 생기기때문에 상품적 가치가 떨어진다는데요.

 

적변삼은 인삼 뿌리가 어떤 환경의 열악성에 의해 뿌리의 스트레스로 인해 자체방어 물질인 (페놀)물질이 외피* 배출되면서

외피의 지질성 물질과 중합되고 이때 철(Fe)성분이 페놀성물질과 결합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연구된 적변(갈변) 발생원인을 종합하여 적변유발 세균 접종방법, 상토 및 유기물의 종류, 토양수분, 세균밀도가 적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습니다.

적변삼 발생 요인.
1. 색상 명도(Hue value) : 적변은 무상처 무접종 < 상처 무접종 < 상처 접종 순으로 심하게 발생하였다.
2. 수도용 상토보다 원예용 상토에서 적변이 심하게 발생하였다.
3. 토양의 수분이 높을수록 적변이 심하게 발생하였다.
4. 유기질 비료의 사용은 적변 발생을 심하게 유발하였다.
5. 세균농도가 높을수록 적변의 발생이 심하게 발생하였다.

양지홍삼농장

인삼농작물의 적변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인삼의 이식 시에 상처 발생을 억제하고

감염된 세균을 소독함과 동시에 완숙된 유기물을 사용하고 과습 방지 등이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인삼 적변의 발생 요인과 원인
박홍우 임태교 최춘환 최재을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한작지. 51(5).2006
건전삼과 적변삼 표피 및 무기성분의 비교
최재을 이종신 윤선미 차선경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한작지. 47(3).2002
적변삼 외피에서 지질, 페놀성물질 및 철 성분의 축적에 관한 연구
이태수 목성균 천성기 윤종혁 백남인 최정
KT&G 중앙연구원, 한국인삼공사, 경희대학교 생명공학원, 경북대학교 농화학과
2004.

2. 홍삼 품질등급에 따른 가격 차이에 비해서 성분의 차이는 적습니다.

1) 적변삼 사포닌 함량 및 PT/PD비
실험재료 : 한국인삼연초연구소 시험농장에서 재배한 자경종 6년근 인삼 건전삼(Healthy root),
적변삼(Rusty root), 은피삼(Rough skin)을 각각 2Kg씩 20~30본씩 골라 실험재료로 사용함.

결과 및 고찰

1. 건전삼과 적변삼 은피삼의 사포닌 함유량
인삼의 표피층과 중심주를 분리하여 조사포닌 및 진세노사이드의 함량을 비교한 결과

 

뿌리
부위
조사포닌 함량(%)
진세노사이드의 함량
Rg2
Rg1
Rf
Re
Rd
Rc
Rb2
Rb1
합계
건전삼
피층
6.0±0.8
667
8,410
662
2,146
794
1,898
1,348
8,932
24,857
중심주
3.4±0.5
334
2,165
384
1,094
436
523
135
2,927
7,998
적변삼
(경결점삼)
피층
6.2±0.5
684
5,490
601
2,917
726
1,762
1,366
5,680
19,226
중심주
2.4±0.6
245
1,812
142
1,297
1,182
125
47
1,299
6,149
은피삼
(중결점삼)
피층
6.0±0.5
319
2,253
410
1,286
400
393
526
3,082
8,669
중심주
3.4±0.4
301
2,183
174
1,620
1,725
773
353
2,281
9,410

2. 분리된 사포닌 분획 PT/PD 비율

 
(많은 학자들이 PT/PD의 비율을 중요시하고 비가 1:1에 가까울수록 유용성 가치를 부여함)

 

뿌리
부위
Protopanaxatriol
(PT)
Protopanaxadiol
(PD)
Ratio
(PT/PD)
건전삼
합계
15,862
16,994
0.93
피층
11,885
12,973
0.92
중심주
3,977
4,021
0.98
적변삼
(경결점삼)
합계
13,189
12,185
1.08
피층
9,692
9,533
1.01
중심주
3,497
2,652
1.31
은피삼
(중결점삼)
합계
8,546
9,532
0.89
피층
4,268
4,401
0.97
중심주
4,278
5,131
0.83
생리장해 인삼의 Saponin 함량과 조직 및 세포학적 특성
안상득
강원대학교 농과대학 자원작물개발학과
1992.

 

2) 홍삼으로 제조시 품질과 인삼성분 함량

홍삼의 품질저해 요인으로는 내공, 내백, 균열, 충해 및 외상 등을 들 수가 있다.
홍삼을 증포과정에서 인삼전체가 암갈색 및 갈색을 띄며 내공, 내백, 생내백이 없는 것을 정상조직홍삼,
중심부가 갈색화가 되지 않으면서 정상조직과 경계가 뚜렷한 백색이나 다공성 백색을 띄는 것을 내백조직홍삼,
그리고 정상조직과 경계가 뚜렷하지 않으며 정상조직보다 백색을 띄나 육안으로 다공성이 보이지 않는 것을 생내백조직 홍삼이라고 부르고 있다.

 

최근에는 생내백조직홍삼이 품질저해요인으로 많이 지적되고 있다

 

실험재료 : 한국담배인삼공사에서

Leave a Comment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Shopping Cart
https://open.kakao.com/o/sfYJBdmd
0
    0
    Your Cart
    Your cart is emptyReturn to Shop